환경부가 종이박스와 자율포장대를 없애기로 한 것과 관련해 소비자의 비판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당장 소비자의 불편이 크고, 비닐봉투 금지처럼 환경보호 취지에 부합하는지 체감하기 어렵다는 소비자들의 우려에 환경부는 2일 다음과 같은 해명을 내놓았다.
환경부는 지금 당장 빈 종이박스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장바구니(대용량 등 여러 size) 대여 시스템을 구축해, 일부 지역부터 시범사업(홍보 등)을 추진하고, 그 효과와 제기될 수 있는 불편사항, 종이박스를 주워 사는 저소득층에 대한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이후 최종 적용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 29일 서울 마포 서울가든호텔에서 농협하나로유통,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4개사, ㈔소비자공익네트워크와 함께 ‘장바구니 사용 활성화 점포 운영 자발적 협약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 김성광 농협하나로유통 대표이사, 이갑수 이마트 대표이사, 문영표 롯데마트 대표이사, 연태준 홈플러스 부사장, 김연숙 소비자공익네트워크 부회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이들 대형마트는 2~3개월 홍보 기간을 거쳐 자율포장대에 비치하던 종이상자와 플라스틱으로 만든 포장 테이프 및 끈을 치울 방침이다. 고객이 원하면 종량제 봉투나 종이상자를 구입할 수 있게 하고, 장바구니를 대여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은 제주 지역 성공 사례를 전국으로 확산하기 위해 추진하는 것이다.
대형마트 4곳과 제주의 중형마트 6곳은 제주특별자치도와 2016년 업무협약을 하고 종이박스 등을 모두 치웠다. 그 결과 제주의 대형마트에서는 소비자의 장바구니 사용이 자리를 잡았고,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등 3개사 기준으로 연간 658톤, 서울월드컵경기장(9126㎡) 857개 분량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하는 등 2차 환경오염 우려가 제기된다고 환경부는 전했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