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헌혈자 현황에 따르면, 최근 3년 동안 헌혈자의 수가 10만명 감소하였다. 2017년 271만명, 2018년 268만명, 2019년 261만명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이와 함께 혈액 제제 및 보관 과정에 의한 혈액 폐기 현황을 살펴보면, 최근 3년 동안 폐기된 혈액의 양은 총 115,895유니트(unit)이고, 2019년 혈액 폐기량은 40,267유니트(unit)로 전년 대비 2,601유니트(unit)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응고, 오염으로 인한 혈액 폐기량은 184유니트(unit)로 전년대비 35% 증가하였고, 보존기간경과로 인한 혈액 폐기는 2019년 735유니트(unit)로 전년대비 28% 증가하였다.
![]() |
▲ 출처: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신현영 국회의원실 재구성 |
채혈(혈액) 제제 과정에서 폐기가 나타나는 이유로는 양부족·양과다 등, 혼탁·변색·용혈, 응고·오염의 이유가 있는데, 이 중 양부족·양과다 등의 이유로 폐기한 혈액은 2019년 37,804유니트(unit)에 달한다. 신현영 의원은 “헌혈자 감소 현상이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 되면서 헌혈의 중요성이 최근 더욱 강조되고 있다.”고 하며, “정부는 혈액 제제 및 보관 과정에서 폐기되는 혈액이 최소화되도록 근본적인 대안 마련을 통해 개선의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