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 23일, 울산에서 열린 '지역고용정책 종합워크숍' 에 참석해 '지역 주도.성과 중심'의 내년도 지역고용정책 방향을 논의하였다.
이번 종합워크숍은 지난 9월 3일 일자리위원회를 통해 발표한 '지역고용정책 개선방안' 의 연장선상에서 마련한 것으로, 전국 17개 시.도 및 기초자치단체 등 지역 고용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주요 지역 일자리 유관기관과 함께 새로운 지역고용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개최되었다.
특히, 이번 워크숍에서는 지난 '지역고용정책 개선방안' 에서 발표한 '고용위기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에 대한 기본방향을 설명하고 토론하는 시간이 마련되었다. '고용위기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은, 고용위기가 우려되는 지역이 주도적으로 ‘중장기 일자리 사업’을 추진, 고용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중앙이 재정 및 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역 노동시장에 고용위기가 발생한 후 고용위기지역을 지정하는 사후적 대응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신설하였다.
동 사업은 그 간 중앙정부 주도 지역일자리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보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것으로,해당 지역의 특성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지역 경제 주체들이 지역 노동시장 권역을 고려하여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역일자리 사업을 계획하고, 중앙정부는 재정 및 컨설팅 등을 제공하여 현장감 있는 성과를 도출하도록 지원하는 중앙-지방 협업 사업이다.
이와 관련, 나영돈 고용정책실장은 '지역고용정책 추진방향 및 사업계획 설명'발표를 통해 위 사업의 기본 추진방향을 설명하고 워크숍 등에서 논의된 지역의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고용위기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계획을 보완할 예정임을 밝혔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 9월 3일 일자리위원회를 통해 발표한 "지역고용정책 개선방안" 이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지역 단위의 경제.산업 정책과 일자리 정책이 연계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역 경제 주체들이 지역 고용 거버넌스를 통해 지역 일자리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을 세우고 대응할 수 있도록 정부도 재정과 컨설팅을 최대한 지원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