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어렵사리 의원총회에 모인 민주평화당 국회의원들 |
민주평화당은 오늘 (2일) 오전 의원총회를 열고 지난달 28일 심상정 정치개혁특별위원장 해고 등 교섭단체 3당이 도출한 합의문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을 규탄했다.
평화당 지도부는 거대양당을 향해 "선거제 개혁에 무책임 행태를 보였다", 정개특위 위원장을 한국당에 넘겨주면 개혁 파탄으로 이어진다", "이번 합의는 지난해 말 예산안 통과 당시 민주당과 한국당 야합의 데자뷔" 라는 등의 비판을 지속했다.
정동영 대표는 모두발언에서 민주당을 향해 "만일 정개특위 위원장을 한국당에 넘겨준다면 선거제 포기 뿐 아니라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와 선거제 개혁 포기, 개혁 파탄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에 대한 명백한 사과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이어 "선거제가 신속처리 안건으로 지정돼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이유는 선두에 평화당이 있었고 야 3당(바른미래당·평화당·정의당)의 공조 세력이 있었기에 국민적 지지 속에서 이뤄질 수 있었다"며 "이것을 외면하려는 시도가 바로 국회 정상화 합의문이다. 강한 유감을 표하면서 여당과 야3당 공조가 분기점에 올라섰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지적했다.
유성엽 원내대표는 "민주당과 한국당은 이번 반쪽짜리 국회 정상화 과정에서 선거제 개혁에 대해 무책임한 행태를 보였다. 보다 책임 있는 자세를 요구한다"며 "지난 시간 우리 야 3당이 정치개혁, 선거개혁 법안을 패스트트랙에 올리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 결과가 이렇게 허무하게 사그라지게 할 수 없다. 제대로 된 논의를 통해 과감하게 수정할 부분은 수정, 추진할 부분은 추진해서 대한민국 미래를 변화시킬 정치개혁, 선거개혁을 완수하겠다"고 밝혔다.
장병완 의원은 "이번 합의는 지난해 말 예산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민주당과 한국당이 야합했던 것의 데자뷔를 보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회 정상화는 국민의 명령이고 당연한 국회의 도리"라며 "한국당이야 어차피 과거 적폐에 대한 어떤 반성도 없이 개혁 발목 잡기를 일관해서 기대를 접은 지 오래지만,민주당은 집권여당으로서 어떤 민생 정책을 추진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없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