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봄 찾아오는 불청객, 미세먼지와 황사에는 구리, 납 등 중금속 성분 외에도 세균, 바이러스가 포함돼 있어 다양한 질환들을 유발한다. 특히 눈과 호흡기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호흡기 질환 예방을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이들이 많지만, 눈은 어떻게 보호해야 할까.
진주라식, 진주라섹 전문 진주박안과 박창열 원장은 미세먼지와 황사로 인한 안과적 질환과 치료 및 예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제작해 최근 공개했다.
영상 속에서 ‘안과캐스터’로 변신한 박창열 원장은 미세먼지에 노출 됐을 경우에는 결막염과 안구건조증 등 이 발생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외출 후 눈에 통증과 이물감이 느껴질 때, 눈곱이 많이 낀다면 결막염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미세먼지 속 중금속과 화학물질이 눈에 침투하면 눈 결막과 점막을 부어오르게 하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안약 등의 처방을 받아 비교적 간단하게 치료가 가능하지만,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는 각막혼탁이나 궤양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기에 병원을 찾아야 한다.
미세먼지가 각막으로 침투하여 눈물 생성기관에 염증을 일으키면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때 대부분의 환자들은 눈에 이물감 또는 뻑뻑한 느낌을 받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약국에서 인공눈물을 사서 넣기도 하지만, 전문의의 처방을 받지 않은 과도한 인공눈물의 남용은 오히려 눈의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그렇다면 미세먼지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진주박안과 박창열 원장은 “미세먼지 주의보가 내려진 날은 외출을 삼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불가피하게 외출을 해야 한다면 보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방법도 효과적”이라며 “외출 후에는 손을 깨끗이 씻고, 눈과 입, 코를 깨끗하게 헹궈주는 것도 미세먼지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특히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사람은 렌즈를 자주 세척하는 것이 좋으며, 미세먼지 주의보가 내려진 날은 되도록 안경을 착용하는 편이 낫다. 눈 점막에 관여하는 비타민 A가 들어있는 식품을 먹는 것도 도움을 준다.
미세먼지가 눈에 들어갔을 때는 눈을 비비지 말고 눈물이나 식염수를 이용해 눈을 한 번 헹궈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많이 가려울 때는 차가운 수건으로 냉찜질을 해주는 것도 좋다.
한편, 진주박안과는 지역민들에게 의학정보를 나눔으로써 황사현상과 미세먼지의 여파로 발생할 환자를 조금이라도 줄이고자 하는 취지로 봄철 안질환 예방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캠페인의 일환으로 안과캐스터 영상을 제작해 지역 커뮤니티와 교육기관 등에 배포하고 있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