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 개혁, ‘적정 수준 축소 필요’ 43.8%

자치단체 / 최훈호 / 2014-10-17 08:00:00
  • 카카오톡 보내기

공무원연금 개혁 관련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절반 가까운 국민들이 공무원의 특성과 국민연금의 형평성을 동시에 고려한 적정 수준의 연금 축소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는 지난 14~15일 전국 성인남녀 1,086명을 대상으로 ‘만일 연금개혁이 추진된다면 어느 정도 수준이 되어야 할지’를 묻는 조사를 진행했다. 43.8%가 ‘공무원의 특성과 국민연금의 형평성을 고려한 적정 수준 축소’라고 가장 많이 응답했다. 이어 28.5%가 ‘국민연금 형평성을 우선 고려해 대폭 축소’, 19.8%가 ‘공무원의 특성을 반영해 공무원연금을 소폭 축소’라고 답했다. ‘잘 모름’은 7.9%였다.

‘적정 수준 축소’ 응답은 30대(48.1%)와 20대(47.5%), 학생(50.3%)과 자영업(47.7%)에서, ‘대폭 축소’는 40대(34.8%)와 50대(32.0%), 생산/판매/서비스직(36.9%)과 자영업(35.1%)에서, ‘소폭 축소’는 50대(20.9%)와 60대 이상(20.6%), 사무/관리직(27.3%)과 학생(26.8%)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이번 조사의 유효 표본은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86명이며 일반전화 RDD방식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에 기반한 비례할당 후 무작위 방식으로 표본을 추출, 인구 구성비에 기초한 가중치기법을 적용했다. 응답률은 5.1%,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97%p이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