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질병, 바로 골다공증이다. 나이가 들수록 이러한 골다공증의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데, 실제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50대 이상의 유병률은 22.5%이고, 여성의 경우는 37.5%로 남성보다 약 5배나 높았다.
골격계 질환인 골다공증에는 뼈 건강에 관여하는 칼슘, 인, 비타민 D, 단백질 등의 영양 섭취가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뼈 성장과 유지에 필수적인 칼슘은 골다공증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영양소인데, 때문에 예방 차원에서 꾸준히 섭취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게 현실이다. 2014년도 국민건강통계를 보면,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칼슘 섭취량은 권장량의 68.7%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다.
![]() |
일상 생활에서 쉽고 간편하게 칼슘을 섭취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우유이다. 우유에는 칼슘과 그 칼슘의 인체 흡수를 돕는 단백질 등 영양분이 풍부하고, 인도 이상적인 비율 (1.2:1)로 포함돼 있다.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에서 실시한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가 뼈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우유와 골다공증의 상관성을 짚고 있다. 이 연구는 성인 남성 4,626명, 성인 여성 6,144명을 연령별 구간으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만 30세 이상~40세 미만의 남성의 경우에서, 우유 및 유제품 섭취군의 1일 섭취 빈도가 1일 1회 이상인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대퇴골 경부 및 전체 골밀도가 높았다. 또 만 40세 이상~만 50세 미만 남성에서는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가 높았다.
만 50세 이상~65세 미만의 여성의 경우에서, 우유를 1일 1회 이상 섭취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대퇴골 전체 골밀도, 대퇴골 경부 골밀도와 요추 골밀도가 높았다. 또 1일 섭취 빈도가 1회 미만인 여성에 비해 골다공증의 위험이 감소하였다.
때문에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는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칼슘 흡수율이 높은 우유를 꾸준히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우유 한 잔은 성인이 1일 필요한 칼슘의 1/3정도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식품에 비해 칼슘 흡수율이 뛰어나 골다공증 예방 및 관리에 좋다고 할 수 있다”면서 “성인의 하루 우유 섭취 권장량은 2잔이다. 이를 통해 평소 적절한 칼슘과 영양소를 섭취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