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와 지지체의 결합 이식, 척수손상 치료 가능성 열어

의료·제약 / 전은아 / 2017-03-05 21:47:56
  • 카카오톡 보내기
- 분당 차병원 신경외과 한인보 교수, 새로운 사실 규명해

[기업경제신문 전은아기자] 차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김동익 원장)은 한인보 신경외과 교수가 척수손상 환자 치료를 위해 골수줄기세포를 이식할 때 줄기세포 생존률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 분당차병원 신경외과 한인보교수(사진제공= 분당차병원)

차의과학대학교 분당 차병원 신경외과 한인보 교수가 척수손상 환자에서 골수줄기세포를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란 지지체(scaffold)와 함께 이식하는 경우에 줄기세포의 생존율을 높이고, 줄기세포의 재생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규명했다.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은 신경외과 한인보 교수가 척수손상 환자에서 골수줄기세포를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란 지지체(scaffold)와 함께 이식하는 경우 줄기세포의 생존율을 높이고, 줄기세포의 재생기능을 강화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지지체는 세포의 원활한 증식과 분화를 돕는 '세포 집'과 같은 기능을 한다. 이번 연구는 줄기세포에 의한 척수손상을 회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전을 발견한 것으로, 미국 국립과학학술원회지(PNAS,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에 게재 됐다.


한인보 교수는 이식하면 금방 사멸해버리는 줄기세포 이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이식방법을 고안했다. 흰 쥐를 이용해 척수손상 모델을 만든 후 줄기세포만 사용 그룹, 지지체만 사용한 그룹, 줄기세포와 지지체를 함께 사용한 그룹을 비교했을 때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와 지지체를 함께 이식하는 경우에 줄기세포 생존율을 높이고, 신경이 회복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줄기세포는 증식이 가능하며 다양한 세포로도 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종 난치성 질환의 치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각 분야에 걸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신경손상에 있어서도 줄기세포의 이식을 통한 신경손상의 회복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이식된 줄기세포가 신경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이식 후에 잘 생착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교 연계 병원 Brigham and women's hospital과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