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제신문 강윤미 기자] 자녀의 더딘 성장으로 고민하는 부모들 만큼이나 자녀의 빠른 성장을 걱정하며 병원을 찾는 부모들이 많아지고 있다. 인터넷, 스마트 폰 등 자극적인 영상과 사진 등 유해한 컨텐츠들이 성조숙증의 유발원인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자극적인 컨텐츠는 뇌 신경을 자극해 성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성조숙증은 키 성장과 함께 2차 성징이 또래보다 일찍 나타나는 질환이다. 사춘기는 평균적으로 여자아이의 경우 만 10세, 남자아이는 만 11세부터 시작되는데, 성조숙증 아이들은 그보다 2년 앞선 만 8~9세에 이전에 사춘기가 시작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성조숙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86,352명으로 집계됐다. 5년 전 53,333명과 비교했을 때 약 1.5배 이상 증가했고, 10년 전인 2007년 7,178명과 비교했을 때는 무려 12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최근 10년 새 성조숙증 환자가 급증하게 된 것은 소아비만, 환경 호르몬의 노출 그리고 스트레스 등이 주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부분의 성조숙증 환자들은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나타나는 특발성 성조숙증이지만, 연령이 매우 어릴 경우에는 뇌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성조숙증은 진단됐다고 무조건 치료를 시행하진 않는다. 아이의 상태를 다방면으로 평가한 뒤 아이가 또래와는 다른 신체변화로 심리 상태가 불안정하고, 성장판이 조기에 닫혀 최종 성인 키가 부모 중간 키 또는 목표 키보다 작을 경우에 시행한다.
성조숙증은 조기에 발견하면 정상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지만, 치료 시기가 늦어지면 효과는 그만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아이의 신체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치료는 사춘기를 지연시키는 성 호르몬 억제제를 한 달 간격으로 투여하는 방식이며, 발달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5년의 장기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이대목동병원 소아청소년과 김혜순 교수는 “성조숙증을 방치하면 2차 성징이 빨리 시작되는 만큼 성장판이 일찍 닫혀 최종 성인 키가 최종 예상 키보다 훨씬 작을 수 있다”면서 “과거에 비해 아이들의 과영양 상태가 흔해지면서 발육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지만, 성조숙증은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아이의 심리와 신체에 변화가 나타났다면 소아청소년과에 방문하여 정확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