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제신문 조민주 기자] 성장과 건강 유지를 위해 우유를 가까이 두고 즐기는 이들이 많다. 우유는 단백질과 칼슘 등 필수영양소를 함유한 완전식품이어서 남녀노소에 두루 좋기 때문이다. 반대로 ‘우유를 마시면 살이 찐다’거나 ‘건강에 좋지 않을 것’이라며 멀리하는 이들도 있다. 이는 잘못된 정보가 낳은 오판이다. 우유 100ml 당 유지방은 약 3g에 불과하며, 이러한 유지방에는 필수 지방산이 다량 포함돼 있다. 또 지방 산화를 촉진하고 지방 합성 효소를 억제하는 순기능도 가진다.
이에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는 “우유 속 유지방은 물론 유당은 대사증후군과 성인병 등의 위험을 낮춰준다. 특히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심혈관계 질환 등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대사증후군의 경우, 적절한 식사와 운동으로 정상으로 회복이 가능하기 때문에 평소 우유 식단으로 관리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 |
이러한 내용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도 있다.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김정현 교수가 실시한 ‘유당과 유지방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연구’이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의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 유지방과 유당 섭취가 높을수록 비만 유병률이 감소한 것을 확인됐다. 유지방 및 유당 섭취가 높은 집단이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 수치는 낮아지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콜레스테롤 수치는 높았던 것이다.
또한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을 통한 자료분석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하루 우유 1컵 미만~이상을 섭취하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비섭취 집단에 비해 고중성지방혈증의 위험이 각각 31%와 44% 낮출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되었고, 대사증후군의 위험은 각각 24%와 31% 가량 낮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우유를 통해 유지방 및 유당을 섭취하면 대사증후군과 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