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 최후의 대작 오페라 '마술피리 in Concert' 개최

생활·문화 / 최다혜 / 2017-08-28 11:45:26
  • 카카오톡 보내기

그랜드오페라단이 창단 21주년을 기념하여 9월 23일 오후5시 한전아트센터에서 <마술피리 in Concert> 공연을 개최한다.


모차르트 전문 지휘자 박인욱 교수와 국내 정상급 오페라 주역가수를 초청하여 모차르트 최후의 대작오페라 ‘마술피리’ 1, 2막 전막에 나오는 아리아와 중창, 합창곡의 대부분의 곡을 음악 중심의 연주회 형식으로 마련한다. 이번 공연에 함께 협연하는 코리안피스오케스트라와 메트오페라합창단은 국내 전문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전문 오페라합창단이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작곡한 오페라 가운데 ‘피가로의 결혼’, ‘돈 조반니’, ‘코지 판 투테’, ‘마술피리’를 4대 걸작으로 꼽는다. 이 중 가장 인기가 있는 작품은 모차르트의 마지막 오페라인 ‘마술피리’이다. 외국어(이탈리아어)로 작곡한 3대 걸작이 주로 귀족들의 호사거리였던데 비해 독일어로 작곡한 ‘마술피리’는 서민들이 즐겨 보았다.


시공과 세대를 초월한 특유의 감성과 유쾌함이 담겨진 ‘마술피리’에는 듣기 좋은 음악들과 아름다운 아리아, 진지한 종교음악 등이 절묘하게 녹아 있어 오페라의 다채로운 즐거움을 느끼게 해준다. 특히 초고음역의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만이 소화할 수 있는 밤의 여왕의 아리아 ‘지옥의 복수심이 내마음에 불타오르네’는 영화‘아마데우스’의 삽입곡으로도 유명하다. 이번 공연에서 노래는 독일어로 부르고 한글 자막이 제공된다.


‘마술피리’의 또 다른 매력은 동화 같은 줄거리다. 고대 이집트 기원전 1000년경의 이시스와 오시리스의 신전 부근, 이집트의 왕자인 타미노는 뱀에게 쫓기다가 밤의 여왕의 시녀들에게 구출되고, 밤의 여왕은 딸의 초상화를 보여주며 자라스트로에게 빼앗긴 딸을 구출해 달라고 부탁한다. 타미노는 초상화를 보고 첫눈에 밤의 여왕의 딸인 파미나를 사랑하게 되어 밤의 여왕이 건네주는 마술피리를 들고 새잡이 파파게노와 함께 진실한 사랑을 찾아 떠나는 판타지적 모험 여행이다.


2016년 7월 예술의전당 ‘마술피리’ 공연에서 크게 주목받은 소프라노 박현주가 파미나 주역으로 출연하고, 파파게노 배역에 노래와 연기 모두가 제격인 바리톤 공병우 그리고 타미노 역에 모차르트 오페라에 가장 적합한 미성을 가진 테너 김동원의 기량이 기대된다. 또한 2017년 5월 성남아트센터 ‘마술피리‘ 공연에서 모차르트 전문 지휘자 박인욱 교수와 호흡을 맞춘 국내 최고의 밤의여왕, 김성혜, 베이스 김대엽, 테너 김동섭, 소프라노 윤현정, 소프라노 이세진, 소프라노 이현수, 메조 소프라노 김향은 등이 출연한다.


※ 모차르트의 ‘마술피리’
모차르트 최후의 걸작 오페라인 <마술피리>는 요한 에마누엘 쉬카데너 (Johann Emanuel Schikaneder)가 대본을 썼고 모차르트 자신의 지휘로 빈 (Vienna)의 교외에 있는 ‘프라이 하우스 테아터’에서 1791년 9월 30일 초연되었다. ‘프라이 하우스 테아터’는 귀족들이 모이는 곳이 아닌 일반 대중을 상대하는 변두리 극장이었으며 무대에 올려지는 작품도 주로 기계장치와 무대효과를 최대한 활용, 액션과 서스펜스, 스펙터클 등이 총망라된 일종의 ‘음악이 있는 코미디물’이었다.

사실 오페라 <마술피리>는 조금만 이 작품의 안을 들여다보면 이러한 오락적인 요소들 이외에도 복잡한 상징과 은유, 심오한 이상주의 등이 공존하고 있는 수수께끼 같은 작품이다. 그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표면적인 행위나 현상 밑에 깔린 이론상의 여러 요소에 대해 마치 비밀암호를 해독하는 작업처럼 숱한 해석을 덧붙이기도 하였다. 또한 음악의 형식적인 면에서 볼 때도 단순한 민요풍 소곡에서부터 엄청난 기교적 어려움을 지닌 아리아들이 공존하고 있으며 부파적인 곡, 정교한 트리오, 그리고 엄숙한 행진곡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요소들이 모차르트란 천재의 용광로 속에서 더할 나위 없이 완벽하게 용해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작품에는 비밀결사인 프리메이슨의 심벌과 교단의 특유한 의식들이 가득 차 있다. 프리메이슨은 18세기 유럽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자유, 평등, 박애를 모토로 한 정치적 비밀결사로 알려져 있는데, 모차르트와 대본가인 쉬카네더도 그 조직원의 한 사람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 프리메이슨의 이상인 아름다움, 힘, 지혜를 상징하는 ‘신비의 숫자 3’은 작품 곳곳에서 자주 등장한다. 작품을 Bb장조 (3개의 b)로 시작하고 끝맺을 뿐만 아니라 서곡에는 들어가 있는 불길한 3개의 화음, 3명의 여인들, 3명의 정령들, 타미노가 두드리는 3개의 문, 세 토막으로 잘려진 거대한 뱀 등이 그 좋은 예이다. 바그너도 지적했듯이 진실로 <마술피리>는 ‘최초의 위대한 독일 오페라’로서 작품이 내포한 심원한 도덕적, 윤리적 특질은 독일의 음악가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작가들에게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