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척추협착증(척추관 협착증)이란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을 누르는 병이다. 목, 경추, 요추 등 그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 질환은 최근 노인뿐만 아니라 젊은이들에게도 쉽게 발병하는 증세로, 허리디스크와 증세가 비슷한데, 요추의 신경이 눌리면 허리통증, 다리저림, 보행시 통증과 불편함 등 디스크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혼동되기 쉽다.
허리디스크는 ‘추 간판이 돌출되어 요통, 신경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 으로 척추 협착증과는 그원인이 다르다. 또한 척추협착증은 급성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은 디스크와 달리 오래 시간에 걸쳐 그 증상이 나타나고, 디스크는 활동을 할 때 통증이 심한 반면, 척추협착증은 누워있다가 일어나는 경우, 허리를 피는 스트레칭을 하는 경우에도 통증이 생기게 되어 디스크와는 증상이 조금 다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생활을 방해하고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질환임에는 둘다 마찬가지 이기 때문에 빠른 치료를 하지 않으면 큰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청주우리병원 백주현 과장은 “산업 발전과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 때문에, 척추 통증 환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수술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병원을 찾지 못하는 환자들이 많다. 정확한 진단을 통해 척추 통증의 원인을 찾고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수술 없이, 전문 의료 보조 장비와 운동치료 등을 통해 척추협착증과 허리디스크를 완치하는 것이 관건이다"고 설명했다.
FIMS(영상유도척추신경치료) , IMS(근육신경자극요법) , ESWT(체외충격파치료) , PVP(경피적척추체성형술), PEN(경피적경막외강감압신경성형술) , IDET(고주파열치료술) 등 다양한 비수술치료와 척추 전문가의 오랜 치료경험과 노하우로 환자에게 맞는 적절한 치료를 한다면 부작용 없이 척추 건강을 지킬 수 있다.
백 과장은 “일상생활에 바른 자세와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여 건강한 척추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수술에 대한 두려움으로 병원을 피하기 보다는 정확한 진단과 운동치료, 비수술치료를 통해 척추 건강을 찾는 것이 좋다” 고 강조했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