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의학원이 자기공명영상(MRI)를 이용해 암세포의 증식 정도를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암세포의 증식 속도는 종양의 악성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항암치료 효과 판별에 이용된다.
연구팀은 19F-FLT를 이용하여, 자기공명영상으로 살아있는 동물의 종양에서 세포증식정도를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기존에는 방사성동위원소가 표지된 18F-FLT 의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영상을 이용하여 종양의 세포증식정도를 영상화하는데, 이 영상만으로는 암세포의 대사과정 중에 일어나는 변화를 구분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어왔다.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지애 박사, 김정영 박사 연구팀은 기존의 18F-FLT과 달리 방사성을 띄지 않는 19F-FLT를 이용하여 자기공명영상(MRI)의 일종인 자기공명분광법(MRS)으로 종양의 세포증식정도를 영상화 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암세포 증식의 대사과정을 더욱 명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공명분광법(MRS)이 암세포 증식정도를 영상화하는 바이오이미징 기술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입증되었으며, 향후 핵의학영상기술 및 CT, 초음파, 광학영상 등의 다양한 이미징 기술과 융합하여 비침습적으로 체내의 약물 상호작용 및 다양한 동력학적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 성과는 Contrast Media & Molecular Imaging 온라인판(2017년 9월26일)에 게재되었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