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한창 진행중인 국민행복기금의 성과 여부가 큰 난관에 빠졌다. 자산유동화회사인 상록수가 들고 있는 2조5000여억원(대상자 30여만명)의 연체 채권이 국민행복기금으로 넘어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자산유동화회사인 상록수는 2003년 카드대란 당시 국민은행·기업은행·우리카드 등 10개 금융기관이 채무조정을 위해 출자해 만든 일명 배드뱅크로, 완전한 민간회사이다. 자산관리는 엠지(MG)신용정보가 현재 맡고 있다.
한 엠지신용정보 관계자는 "잠정적으로 채권을 행복기금에 매각하지 않는 쪽으로 출자사들이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 이유는 행복기금에 채권을 넘길 경우 자체 회수보다 손해가 더 클 수 있다는 셈법이이라고 한다. 결과적으로 카드대란 때 다중채무 늪에 빠진뒤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30여만명은 국민행복기금 수혜를 입기 어려워 이 채무자들이 이번 행복기금 채무조정을 받아도 실효를 거두기 어려운 즉 다시 연체채무자로 남게 될 처지가 된 것이다.
박근혜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가계부채 해결문제 국민행복기금의 성공여부가 자산유동화회사인 상록수가 들고 있는 2조5000여억원(대상자 30여만명)의 연체 채권이 가로 막고 있어 그 성공여부가 어려워 보인다.
[ⓒ 기업경제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